Development Guide

에이전트 개발하기

에이전트 개발하기

에이전트 개발하기

AI 에이전트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목표를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며,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파트너입니다.


에이전트는 메모리를 활용해 사용자 대화 맥락을 유지할 수 있고, 채팅 기반 테스트가 가능하여 사람과 유사한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1단계: 프로젝트 생성


메인 페이지에서 Create Project 버튼을 눌러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필요하다면 왼쪽 사이드바의 핀 버튼을 눌러 상단에 고정할 수 있습니다.



2단계: 에이전트 선택


프로젝트 내부 사이드바에서 Ability 또는 Agent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Agent를 선택합니다.



3단계: 에이전트 추가


프로젝트 내부에서 Create 버튼을 눌러 에이전트를 생성합니다.



4단계: 캔버스 진입


생성된 에이전트를 클릭하면 캔버스 에디터로 이동합니다.

캔버스는 워크플로우를 설계하는 공간입니다.

에이전트 역시 기본적으로 INPUT 노드와 OUTPUT 노드가 제공됩니다.


5단계: 에이전트 전용 노드 활용


에이전트는 어빌리티와 달리 AI Agent 노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노드에는 장기 기억(Long-term Memory),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 에이전트 툴(다른 에이전트 실행), ReAct Agent 노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나리오에 맞게 적절한 노드를 선택하세요.

(예시: 끝말잇기 에이전트를 만들고 싶다면 단기 기억 노드를 사용해 사용자의 입력을 기억해야 합니다.)



6단계: 노드 구성 및 연결


캔버스 하단의 Add Node 버튼으로 필요한 노드를 추가합니다.

원하는 노드를 드래그 앤 드롭으로 배치하고, 엣지로 연결하여 데이터 흐름을 만듭니다.

더블 클릭하여 입출력 변수를 정의하고, 필요하다면 코드나 프롬프트도 작성합니다.

(참고: 코드 작성 및 노드 사용법은 [노드 다루기]와 [어빌리티 개발하기]를 참고하세요.)



엣지를 연결한 후에 OUTPUT 노드에 최종 출력할 결과를 선언해주세요.



7단계: 대화형 로직 설계


에이전트는 단순한 기능 실행이 아니라 사용자와의 대화맥락을 유지하며 사람처럼 상호작용합니다.

단기 기억 노드로 직전 대화를 활용하거나, 장기 기억 노드로 사용자 선호 및 과거 기록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조건 분기를 통해 상황에 따라 다른 응답이나 행동을 선택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습니다.


8단계: AI 기능 확장


LLM 노드를 추가해 대화 응답을 생성하거나, 복잡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필요하다면 에이전트 도구 노드를 활용하여 외부 툴 실행 및 탐색 기능을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에이전트가 단순 대화에서 나아가 실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9단계: 채팅 기반 테스트


어빌리티 테스트가 순차 실행 결과 확인 방식인 반면, 에이전트 테스트는 채팅 인터페이스로 진행됩니다.

채팅을 통해 에이전트와 대화하면서 동작을 확인하세요.

어색하거나 잘못된 응답이 나오면 노드를 수정하고 다시 테스트합니다.



10단계: 개선과 확장


반복적으로 테스트하며 대화 맥락 유지, 메모리 활용, 의사결정 과정을 점검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에이전트를 점점 더 자연스럽고 지능적인 대화형 파트너로 다듬어갈 수 있습니다.